RFC
[ request for comments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인터넷에서 기술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절차 등을 제공하는 공문서 간행물이다.인터넷 문서인 RFC는 인터넷 연구와 개발 공동체의 작업 문서이다. 이 문서 내용의 대부분은 인터넷상에서 기술을 구현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상세한 절차와 기본 틀을 제공하는 기술 관련 내용이다. 필요하면 전자우편을 통하거나 직접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여 FTP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 문서에 RFC 문서 번호가 부여되고 출판되면, 수정되거나 같은 번호가 부여되는 일은 없다. RFC를 쉽게 구하기 위해서는 RFC 색인을 참조하면 된다. 색인은 어떤 RFC가 유일한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RFC에 의해 갱신된 것인지를 나타내주고 있다.
RFC가 발표될 때마다 이 색인은 온라인으로 갱신된다. RFC 색인은 anonymous FTP를 이용해 ftp://ftp.ietf.org/rfc/에서 가져올 수 있는데, 파일명은 RFC 디렉터리 아래의 rfc-index.txt이다. 사용자는 키워드, 제목, 작성자, 발표 기관, 날짜 등의 임의의 필드를 지정해 모든 RFC의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원하는 요구 사항을 써 RFC-INFO@ISI.EDU에 전자우편을 보내야 한다. IETF에서는 RFC 일련번호와는 별도로 3종류의 부가적인 일련번호를 관리하고 있다. FYI는 RFC의 보조 문서로 RFC가 기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FYI는 일반 정보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BCP(Best Current Practice) 문서는 프로토콜 규정을 위한 옵션 장치를 구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규정하고, STD(Standard) 문서는 인터넷 표준에 해당하는 RFC 하위시리즈이다.
[출처] RFC | 두산백과
RFC
[ request for comments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인터넷에서 기술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절차 등을 제공하는 공문서 간행물이다.인터넷 문서인 RFC는 인터넷 연구와 개발 공동체의 작업 문서이다. 이 문서 내용의 대부분은 인터넷상에서 기술을 구현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상세한 절차와 기본 틀을 제공하는 기술 관련 내용이다. 필요하면 전자우편을 통하거나 직접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여 FTP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 문서에 RFC 문서 번호가 부여되고 출판되면, 수정되거나 같은 번호가 부여되는 일은 없다. RFC를 쉽게 구하기 위해서는 RFC 색인을 참조하면 된다. 색인은 어떤 RFC가 유일한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RFC에 의해 갱신된 것인지를 나타내주고 있다.
RFC가 발표될 때마다 이 색인은 온라인으로 갱신된다. RFC 색인은 anonymous FTP를 이용해 ftp://ftp.ietf.org/rfc/에서 가져올 수 있는데, 파일명은 RFC 디렉터리 아래의 rfc-index.txt이다. 사용자는 키워드, 제목, 작성자, 발표 기관, 날짜 등의 임의의 필드를 지정해 모든 RFC의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원하는 요구 사항을 써 RFC-INFO@ISI.EDU에 전자우편을 보내야 한다. IETF에서는 RFC 일련번호와는 별도로 3종류의 부가적인 일련번호를 관리하고 있다. FYI는 RFC의 보조 문서로 RFC가 기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FYI는 일반 정보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BCP(Best Current Practice) 문서는 프로토콜 규정을 위한 옵션 장치를 구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규정하고, STD(Standard) 문서는 인터넷 표준에 해당하는 RFC 하위시리즈이다.
[출처] RFC | 두산백과
CGI
[ common gateway interface ]
사용자가 서버에게 웹페이지를 통한 요청이 있었을 때, 그것이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 될 필요가 있다면 서버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필요한 메시지를 받는다. 이 때 서버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CGI라고 한다.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의 약어로, 웹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이나 규약들을 말한다. 브라우저가 서버를 경유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질의를 내는 등 대화형 웹페이지를 작성할 때 이용된다. 게이트웨이의 개발 언어로는 유닉스에서는 문자열 처리가 간단한 펄(perl), 윈도NT에서는 비주얼베이식(visual basic)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외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표준 방식으로 자리잡았으며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버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수행하므로 서버에 무리를 준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출처] CGI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