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강 solc js library로 sol파일 compile하기

.
.
solidity file을 solc로 컴파일하고 이를 config.log 하면 아래같은 내용을 볼수 있다.
크게 보면 bytecode 와 abi를 볼수 있다.


테스트시 필요한 라이브러리

.
.
40강
web3버전 0과 1의 차이 promise, async를 지원하느냐 아니냐가 가장 큰차이

.
.
41강 web3 객체에 각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provider를 제공해 줘야 한다.
네트워크가 다르면 다른 provider를 제공해줘야 한다.



.
.
42강 테스트 기본



.
.
44강
transanction의 내용들



가나쉬는 가상 테스트 네트워크이다. 이안에는 unlocked accounts들이 있어서 바로 사용가능, 트러플의 경우 기본으로 가나쉬를 이미 포함하고 있다

test를 mocha로 변경해주고

cli에서는 npm run test를 해준다
아래는 위 코드의 결과물

.
.
45강
.then 대신에 async await을 이용한 예시

.
.
46강

module.exports 한 화일의 함수, 변수를 다른 화일에서 사용할수 있다.
https://www.sitepoint.com/understanding-module-exports-exports-node-js/




.
.
47강

위 코드에서 inbox는 contract instance를 가지게 된다.


이 contract instance를 출력하면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49강
contract의 address를 확인해서 잘 deploy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코드 예

.
.
50강
testing calling a function

.
.
51강
testing sending transaction to function

.
.
52강
테스트의 경우
Web3의 객체인 web3에 provider를 제공하고
이미 unlocked 되어있는 account들이 준비된 ganache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링크비(테스트네트워크)의 경우
뉴모닉 단어들로 열린 account가 provider에 제공되어야 한다.
local node를 만들고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해서 작업할수 있으나 복잡하기 때문에 infura api를 이용한다.

.
.
54강
링크비(테스트네트워크)의 경우 provider를 만들기 위해 cli에 다음 실행

local 테스트의 경우

링크비(테스트네트워크)의 경우

.
.
56강 deploy.js 파일 내용
delopy 하는 과정



.
.
57강
rinkeby에 올려진 블럭 확인 하게 해주는 웹사이트


.
.
58강 위에서는 일반 text editor를 이용한 deploy 방법을 설명했고
아래는 remix, metamask를 이용한 rinkeby에 deploy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
.
59강
총정리 설명
text editor를 이용해서 deploy하는 방법 총정리 설명